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

사무실 인터넷 랜(LAN) 네트워크 공사에 대해 알아야할 것들

사무실 인터넷 랜(LAN) 네트워크 공사에 대해 알아야할 것들에 대한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기업의 사무실등에서 인터넷 네트워크 공사를 도입하는 것은 내부적으로 인터넷 통신환경을 구축하여 시스템 운용 및 업무를 최적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전반적인 통신의 환경을 인터넷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전체적인 통신운영의 환경으로 꾸미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랜 공사는 기존 설비 및 인테리어에 영향을 주면 안되므로 까다로운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공사전 설계하는 단계에서 꼼꼼하지 않으면 시간 및 금액손실이 발생할 우려가 큽니다.

금번 후기를 통해 이러한 손해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취지로 포스팅해봅니다.

 

LAN은 Local Area Network 의 약자로 소규모의 한정된 지역에서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LAN은 회사나 학교 및 가정에서 구성되는 네트워크를 말하는 것이며 인터넷이 기본이 되는 네트워크 방식입니다.

 

LAN 공사의 대부분은 신규로 구내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경우이나 가끔은 기존 네트워크를 개선하는 경우가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신규로 네트워크 구축하는 공사를 선호하는 편인데요. 금번 공사는 신규 사무실 공사건입니다. 공사전 네트워크 설계를 위해 현장실사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구성에 맞게 네트워크를 디자인한후 공사 준비하는게 중요합니다. 그래서 현장실사를 다녀왔습니다.

 

공사전 현장방문을 통해 중요한 몇 가지 확인해야할 내용이 있는데요.

1. 공사할 현장의 규모 및 규격정보를 확인합니다.

  - 책상 수, 인원, 사무실 평수,구조(도면), 공사일정

2. 현장에 필요한 유무선 단말기기들의 소요를 확인합니다.

   - AP,인터넷전화,키폰,팩스,복합기,PC,노트북

3. 소요파악후 적정한 네트워크 장비 선정하고 설치 위치 확인합니다.

   - 허브,공유기,방화벽,VPN,NAS,

4. 배관 및 배선의 경로 확인후 케이블 및 배관 경로를 확인합니다.

사무실 네트워크 랜공사를 할때는 유무선 공유기나 허브(HUB), 네트워크 장비가 필수로 들어갑니다.

공사시 많이 문의하시는 내용으로 공유기나 허브(HUB) 둘 중 하나만 설치해도 되지않느냐 하는 것인데요. 실제 유무선 공유기만 설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허브(HUB)만 설치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이에 대한 IP 공유기와 허브(HUB)의 역할을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왼쪽 그림은 IP공유기로 통신사에서 인터넷을 설치하면 인터넷 모뎀 장비 하단에 설치하여 사설 IP대역을 생성합니다. 즉 IP 한 개를 공유해서 각각의 PC 및 단말기기에 다른 IP를 생성합니다. 아래에 있는 안테나가 3개 있는 장비는 유무선공유기로 사무실에서 유선인터넷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장비이며 무선 인터넷 WiFi는 별도의 암호화 설정 및 세팅 후에 사용합니다.

아래 오른쪽 장비는 허브(HUB)로 인터넷을 여러명의 사용자가 동일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뿌려주는 역할을 하며 IP를 각각의 IP로 분배를 못합니다. 즉 IP 생성 및 할당 기능이 없습니다.

IP 공유기 포트만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규모 사업장이라면 IP 공유기만 연결해서 사용 가능하지만 단말기기 댓수가 10대 이상 넘어가는 사업장의 경우에는 공유기의 포트만으로 부족해 허브(HUB)를 활용합니다. 허브(HUB)는 단순히 IP를 그대로 뿌려주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공유기 없이 인터넷 모뎀에 연결하면 대역대가 달라지고 네트워크 연결이 안됩니다. 대규모 사업장에는 아래 그림처럼 네트워크 L2스위치, L3스위치등이 들어가는데 이는 다음 포스팅에서 소개하겠습니다.

배선에 필요한 랜(LAN) 케이블에는 UTP, STP, FTP Type등이 있으며 UTP케이블은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Type으로 Unshieled Twisted-Pair 즉 감싸지지 않은 꼬여있는 케이블입니다.  아래 왼쪽 그림은 현장에 적용할 케이블 및 배관이며 오른쪽은 케이블 종류에 따른 통신규격으로 현장상황에 맞는 Category를 선정합니다.

매립형 아울렛은 사무실 환경에서 자주 사용하는 방식으로 전기콘센트처럼 통신 콘센트으로 랜선을 꽂을 수 있는 포트에 따라 1구, 2구, 3구 등이 있습니다. 몇 구 아울렛을 설치할 지는 인터넷이나 사무실 네트워크를 몇 자리에서 사용할지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무공간 기둥벽면 또는 인테리어가 마감된 경우 통신선로를 매립할 수 있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배관은 SF Flexible(금속제 가요전선관), GW Flexible, CD관, Steel관등이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CD관으로 현장 환경에 따른 배관 선정이 필요합니다.

LAN 케이블을 포설하고 케이블 양쪽에 RJ-45를 연결합니다. 랜선의 피복을 벗기면 구리선 8가닥이 보이는데 이 선들을 RJ-45 커넥터와 접속합니다. 이때 필요한 공구는 랜툴 및 전지가위등이 있으며 RJ-45 커넥터 접속전 라벨용 부트를 끼우는걸 잊지 말아야합니다.

요즘은 라벨프린터를 이용하여 아래 그림과 같이 부트 및 스티커 형식의 라벨을 출력해서 케이블에 부착하여 깔끔한 케이블 정리가 가능합니다. 랜 케이블 양쪽에 동일한 번호 및 표기로 처리하여 향후 장애 발생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합니다.

사무실 인터넷 랜 공사의 마무리 단계로 LAN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포설된 케이블 양쪽에 LAN 테스터기 Mater와 Remote를 이용해 케이블 접속 및 포설에 이상이 없는지 시험합니다.

 

이상으로 사무실 인터넷 랜(LAN) 네트워크 공사에 대해 알아야할 것들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