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_정보통신기술사 정보통신기사 대비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_정보통신기술사 정보통신기사 대비

 

1. 인터넷을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웃소싱 형태로 공유, 여러대의 단말을 통해 분산형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는 개념으로, 오픈소스를 통해 비용 절감효과도 발생합니다.

2.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컴퓨터들의 리소스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해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3. 개인용 컴퓨터나 기업의 서버에 개별적으로 저장해 두었던 프로그램이나 문서를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는 대형 컴퓨터에 저장하고, 개인 PC는 물론이고 모바일 등 다양한 단말기로 웹 브라우저 등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용자 중심의 컴퓨터 환경을 말합니다.

4. 더 다아가 클라우드 컴퓨팅은 자사 서버를 다른 회사에 빌려주고 관리까지 대행하여 수수료를 받는 사업모델도 가능합니다.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외부고객들에게 고도의 확장성과 유연성이 확보된 서버, 스토리지, 소프트웨어등의 IT자원들을 구매하여 소유하지 않고 필요시 On-Demand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컴퓨팅 형태입니다.

 

 

1. On-Demand 방식으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때에 맞춰 컴퓨팅 자원을 사용가능합니다.

2. 하부 세부사항이 숨겨져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컴퓨터 서비스에만 관심을 둘 수 있습니다.

3. 모든 컴퓨터 자원을 한 데 모음과 동시에 사람이 아닌 소프트웨어가 이를 관리함으로써 분산 컴퓨팅을 이룸과 동시에 IT 자원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킵니다.

 

 

1. 비용 면에서 사용자가 많을수록 고정비가 줄어들기 때문에 대용량 자원을 사용하는 기업일수록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2. 기업들은 특정 업무를 위해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PC등을 따로 구입해야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면 그럴 필요없이 인터넷에 연결만 하면 됩니다.

3. 사용자들은 관련 소프트웨어를 각각 PC에 전부 설치할 필요없이 입출력을 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만 설치하든지 아니면 네트워크를 통해 일정한 주소에 접속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네트워크로 연결된 장비라면 PC, 휴대용 기기 등으로 접속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1.보안문제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가장 큰 단점임. 클라우드 컴퓨팅 특성상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입출력되고 중요 데이터가 외부 업체 서버에 저장된다는 것은 고객정보 및 기밀유지가 필요한 부문에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법률적인 문제도 해결해야 할 부분임. 국외 서버를 이용할 경우 서비스 사용자가 불법행위 등을 통해 정부나 국가기관으로부터 조사를 받아야 할 경우 데이터가 분산 저장돼 있는 국외는 치외법권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기본 구조는 서버집함(Cloud servers)이 상호 연결된 대규모 네트워크입니다.

2.때로는 가상화를 통해 서버당 컴퓨팅 파워를 극대화하기도합니다.

3.Front-end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는 카달로그에서 서비스를 선택하면, system management 모듈은 요구에 맞는 자원을 찾아냅니다.

4.그 다음 클라우드에서 필요한 만큼 자원을 가져오는 provisioning service를 호출합니다.

 

 

1.유사한 개념인 그리드 컴퓨팅의 경우 다수의 컴퓨터를 합해 하나의 컴퓨터로 보고 분산처리하는 방식으로, 기상예측 등 과학기술 계산에 적합하지만 이는 이용자 개개인을 위한 서비스는 아닙니다.

2.클라우드 컴퓨팅은 거대 데이터센터를 통합한 컴퓨팅 자원을 필요한 이들에게 각각 공급할 수 있습니다.

3.클라우드 컴퓨팅 이전의 그리드 컴퓨팅은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컴퓨팅 자원들을 하나로 묶어 사용하는 가상화 개념을 도입합니다.

 

이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